top of page

Women should write through their bodies, they must invent the impregnable language that will wreck partitions, classes, and rhetorics, regulations and codes. Women must submerge, cut through, get beyond the ultimate reverse-discourse, including the one that laughs at the very idea of pronouncing the word ‘silence’ and the one that aims at impossibility, but suddenly stops at the word ‘impossible’ and writes the word ‘end’.     - Hélène Cixous, Catherine Clément <The Newly Born Woman>


Who owns the body of women?
 

          According to <The Gaze> by John Berger, who left us not so long ago, images- those which are displayed by visual media and what we see in them are all sexual in nature, and are placed within social power relations. In <Ways of Seeing>, Berger stated that ‘men act and women appear’. How many male artists have painted and sculpted the female bodies? These female bodies lying under the eyes of male artists were reinterpreted according to the individual artists’ interests. Even when a new genre was created, art needed a female body – as seen in Camillo Negro’s <The Neuropathological> movie series of the early 20th century. The eyes of female patients are often obscured in the movie. The blindfold represents a fetish about the relationship of conquest and obedience - the sexual desires of men. It also shows that the female body is subject to control. Women in the screen cannot see themselves with their own eyes. Neither can they see the eyes of those who are watching them. Their bodies are not entirely theirs. The blindfolded woman is deprived of the opportunity to recognize the world with her own eyes as she lies on the examination bed. I turn my head and look at myself in the mirror.

          As seen in the Polish black-clad protest against the abortion ban which began in December 2015, or the massive female march on the day of Donald Trump’s inauguration in 2017, women were walking and shouting: ‘my body, my choice!’ The freedom of female bodies is still threatened where a confrontation exists between the Eastern Europe and the West, and Ideology is collapsing. Then what about us? In December 2016, in South Korea, ‘The Republic of Korea Childbirth Guidance’, which released the number of women in her reproductive ages by region, was publicized as a measure to cope with low fertility rates- a noteworthy event in consideration that the president of South Korea is herself female. Moreover, the revised Mother and Child Health Act amendment, which was announced before the “guidance”, stated that abortion is as an ‘immoral medical practice’, not the choice of women. There is nowhere for women to exercise their rights to terminate pregnancy as the authority over their own bodies. Thus, we are yet to entirely regain ownership over our bodies.


Feminine writing, feminine painting


          In 1975, <L’ARC>, a quarterly magazine based on the theme of <Simone de Beauvoir and the struggle of women (Simone de Beauvoir et la lutte des femmes>, published an article by Hélène Cixous, entitled <The Laugh of the Medusa (Le Rire de la Méduse)>. Cixous’ writings have since been translated throughout the world and have had a profound impact on the feminist movement. Forty years have passed, but her writings are still sharp. Cixous, who was at the forefront of the radical feminist movement, coined the term ‘feminine writing (L’ecriture feminine)’ with Luce Irigaray.


          Cixous and Irigaray who claimed to regain ‘women’ from the male language and use the words of the female body- more precisely the overflowing of words from two lips in continuous contact, resembling female genitals have been accused of ‘biologically limiting femininity’. The intense rejection towards Cixous’ writing was perhaps natural. Writing was the domain of men with reason and authority. In history, only a few select women were able to write their stories. In this world, women may write and tell their stories, but the world does not actually listen to their stories. Despite the rejection, ‘feminine writing’ has become a way for women who have been dominated by the penis-centred language to regain their identity regarding gender, and own their bodies. The ‘new woman’, who has transformed from the unknown territory beyond the eyes of men who had judged them, has managed to cross boundaries by writing her own stories. They had many stories. As their bodies have lived the histories in which they were forced to be silenced, the resulting stories get pushed into the world like endless waves.


          In the tradition of philosophy, with the beliefs that the world of ideas, truths and reality can be approached through spirit and soul, the human body has been pushed out of the objects of thought. As the transcendence of reason and God was reorganized into the images of men, women were pushed out of line with their bodies. Even in exile, the body of a woman that goes through menstruation, pregnancy, and childbirth was either treated contemptuously or distorted as the goddess of primitive myths. In the process of objectification, the body of a woman was incapable of being the subject or having its own language- unlike men who were considered the measures of the world. Women were pushed into the dark abject, where the symbolism of the Dark Continent, the penis, dominated by ambiguity and uncontrollable emotions, had to be suppressed to defend their world. Women have a lot of stories because they have faced the whole system in the history with their bodies and lived through them. Through a perceived body, a consciousness that has not been separated from the body, women have lived in the real world. The stories which they are writing are born in a new female body.


          I would like to start the story of Younghee Lee’s work at this very point where Cixous stated: ‘I release a new woman from an old woman’ through feminine writing.


          Younghee Lee regains our and her body through feminine painting. Lee has long been working on the ground, and the fragments of time buried underneath. Having worked with materials which are commonly familiar in a woman’s life, such as natural dyed fabrics and chaff, in 2011 she undertook a project in which she intentionally took closer looks at the objects that inspired her.


          Each week, Lee recorded photographs of how the ground of a rice paddy near her workshop changed throughout the year, and the process of watering and growing of rice. Lee also participated in nude drawing atelier and drew hundreds of them. Moreover, she made a series of installation work entitled <Crack> by making the changes in the ground and the body of a woman with the chaff and braided yarn. Although the world did not allow conspicuousness or the forming of grand ideas and narratives, Lee constantly observed and worked in likeness to living a day to day life.
 

          When the walls and floor of the <Crack: 12> exhibition space was filled with the pieces that Lee had spent 12 months’ time on, she must have felt that the swallowed language had once again bubbled up inside her throat. The action of painting a woman’s body entails blowing it off with a new imaginary system. In the process, the artist opens up ‘youngheelee’. When Lee wrote her name in English, the repetition of spelling centred around ‘L’ caused the crack-like imagery. She now takes this new ‘youngheelee’ out of the crack and writes down the story of a woman together with it.


The newly born woman
 

          In this exhibition, the artist used two spaces – the underground and the first floor. There was a video work entitled <251_Ellipsis> playing on the most prominent wall in first floor. Above the three large frames, the video work flows into differnet scenes. The artist has devoted these three video canvases to the space of points that make up the symbol ellipsis. The silence here represents the place of words that go around the mouth and disappears as they get swallowed back into the body. The ‘words of other individuals’ enter in this empty space. Among the roles that the artist has to perform, Lee disappears while stammering the words like a child with cognitive disabilities.


          Meanwhile, there is a world full of life energy across the world where Lee is about to disappear. The bodies of a woman painted in black and green float around like the water that flows. In this body, power arises. It rises from the ground, rolls, and shakes. In the underground of the exhibition hall, a part of the installation series called <Crack, 2011>, which has the form of a woman lying on the ground - made of chaff and braided yarn – was exhibited alongside the painting. The body of a woman, raised up from the imaginary world of the former world, is now transformed into various images and forms, and the body of a reborn woman and the landscape of a new world are being unfolded.
Lee has mentioned several times that she watched the last scene of <Antichrist> by Lars von Trier with a great impression, where the women from underground float wiggling about. If the male director looked at the body of the woman, portrayed as something dark and ominous, like the witchcraft of a witch with fearful eyes, Lee looked at it as a ‘newly born’ woman. If the feminine text was written, it would fit the predictions of the drinking water, which would be lifted like a volcano by the old hard shells of the masculine fighters. The body and story of a woman that have been deprived of language under the old interpretation and half of the world lost imagination, return to us with energy that is condensed beyond fear, evil, worship and exclusion. Now, the artist and ‘youngheelee’ are freed from the things that have been holding themselves up by creating and moving their bodies, and exist as complete subjects in themselves. The images of life and death created by free women’s bodies coexist organically without being confronted in the exhibition space. In order to remember this whole world that Lee created as being a creator herself, she makes the book and ponders over memories throughout the process. The book on one side of the showroom creates another story with variations of the artist’s world.


          There is more than one story of women. Just like a woman’s body. The story of Younghee Lee, who communicates with the world of infinite and fluid complexity, transcends from the smallest form of the book, through the wall-filled drawings and images, it overturns meaning in all directions and returns to us.


          In the process of translating Younghee Lee’s long-term theme ‘teum (틈)’ into English, I thought that it would be most appropriate if it was translated as ‘crack’ since the chaff works resemble the cracked earth. However, when I looked back, the ‘crack’ that Lee referred to was actually the world that could not be translated into a single word. Thus, it had to be rather translated into ‘crack’ that referred to the gap in which another life sprang up, or ‘between’ where the dark land and the world stood. Anyway, naming this world is not important. The important thing is what Lee, and what we have found in this world. A new woman awaits us in this world, who is not ashamed of the desire to sing, write, be brave to talk, in other words, the desire to create something new, like the face of a beautiful Medusa that men have not looked at due to fear. Entirely, without any deficiency.

The newly born woman
When feminine writing leads to feminine painting

Kihyun Park (Independent curator / editor)

새로 태어나는 여성
여성적 글쓰기가 여성적 그리기로 연결될 때
박기현 (독립큐레이터 / 에디터)

여성은 자신의 몸을 글로 써야 한다. 칸막이, 계급, 수사학과 명령과 규칙을 깰 수 있는 삼투성 언어를 창안해야 한다. 담론의 마지막 보루까지 침몰시키고, 꿰뚤고, 뛰어 넘어야 한다. ‘침묵이라고 말하는대신 웃어넘기는 담론까지도, 불가능을 목표로 삼으면서도 ‘불가능’이란 말 앞에서 갑자기 멈추어 그곳에 ‘끝’이라고 쓰는 담론까지도 뛰어 넘어야 한다.   엘렌 식수, 카트린 클레망, [새로태어난 여성] 중


여성의 몸은 누구의 것인가


          얼마 전 우리 곁을 떠난 존 버거의 ‘응시’에 대한 글을 꺼내 본다. 이미지, 시각 미디어에서 보여주는 것, 보는 것은 모두 성적이며 사회적 권력관계에 놓여있음을 밝힌 그는 ‘남성은 행동act하고 여성은 출현appear 한다’고 그의 시각 이론에서 이야기 한다. 얼마나 많은 남성 화가들이 여성의 몸을 그리고 만들었던가. 그들의 눈 아래 놓인 여성의 몸은 그들의 관심에 따라 재해석 되었다. 새로운 장르가 만들어져도 예술은 여성의 몸을 필요로 했다. 20세기 초 카밀로 네그로의 ‘신경 병리학’ 시리즈 영화처럼. 영화 속 여성 환자의 눈은 종종 가려져 있다. 눈가리개는 정복-복종의 관계에 집착하는 페티쉬로 남성의 성적 욕망을 위해 여기에 있다. 그리고 여성의 신체가 통제 대상이라는 것을 보여 준다. 화면 속 여성은 스스로를 볼 수 없다. 자신을 바라보는 눈도 볼 수 없다. 그의 몸은 온전히 그의 것이 아니다. 눈이 가려진 여성은 자신의 시각으로 세계를 인식하는 기회를 박탈당한 채 검진 침대 위에 놓여 있다. 나는 고개를 돌려 거울 속 나를 바라본다.
2015년 12월부터 시작된 낙태 전면 금지법에 저항하는 폴란드의 검은 시위와 2017년 트럼프 취임식 날 벌어진 대규모 여성행진에서 여성들은 ‘나의 몸, 나의 선택
My body, my choice’를 외치며 걸었다. 동구권과 서구, 이데올로기의 대립이 무너진 그곳에서 여성의 몸에 대한 자유는 여전히 위협받고 있었다. 그렇다면 우리는 어떤가? 2016년 12월 여성이 대통령인 대한민국에서는 가임 여성의 수를 지역별로 표시한 ‘대한민국 출산지도’가 저출산 극복 대책으로 발표되었고, 그보다 앞서 발표된 모자보건법 개정안은 낙태를 여성의 선택이 아닌 ‘비도덕적 진료행위’로 규정했다. 어디에도 여성이 자신의 몸의 주체로서 임신 중단 권리를 행사할 곳은 없다. 우리는 아직도 몸을 되찾지 못했다.


여성적 글쓰기, 여성적 그리기
 

          알제리에서 태어난 프랑스 작가 엘렌 식수는 1975년 라르크 L’ARC에 ‘메두사의 웃음Le Rire de la Méduse’을 발표했다. ‘시몬 보부아르와 여성의 투쟁Simone de Beauvoir et la lutte des femmes’가 라르크의 주제였다. 식수의 글은 이후 전세계에 번역되고 페미니즘 운동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다. 40년의 세월이 흘렀지만 그의 글은 여전히 날카롭다. 당시 급진적 여성주의 운동의 최전방에 있던 식수는 뤼스 이뤼가레와 함께 ‘여성적 글쓰기écriture féminine’를 만들었다.
남성 언어로부터 ‘여성’을 되찾고 여성의 몸에서 나오는 말, 더 정확히 말하자면 여성의 갈라진 성기에서 넘쳐나는 말(뤼스 이뤼가레이)을 쓸것을 주장한 이들은 ‘여성성을 생물학적으로 제한한다’는 비난을 받기도 했다. 당연했다. 글쓰기는 이성과 권위를 가진 남자의 영역이었다. 그렇기에 역사에는 소수의 선택받은 여성만이 자신의 이야기를 쓸 수 있었다. 여성들이 글을 쓰고 자신의 이야기를 하는 순간, 세상은 그들의 이야기에 바로 귀기울이지 않는다. 하지만 거쎈 저항에도 불구하고 ‘여성적 글쓰기’는 남근중심 언어로 지배당해 온 여성이 자신의 성과 몸을 되찾는 방법이 되었다. 그들을 재단했던 남성의 시선을 벗어나 미지의 영역에서 돌아오는 ‘새로운 여성
the New woman’은 스스로 자신의 이야기를 씀으로써 다시 자신의 앞에 그어진 한계선을 넘어야 한다. 그들은 많은 이야기를 갖고 있었다. 긴 역사에서 침묵을 강요당한 그들의 몸이 그 이야기를 살아 냈기에 온몸에서 끌어올려 지는 이야기는 끝없는 파도처럼 세상으로 밀려 나온다. 철학의 전통에서 정신과 영혼을 통해서만 이데아의 세계, 진리와 실재에 다가갈 수 있다는 믿음은 인간의 몸을 유기물로 바라봤고, 이성, 신과 같은 초월성이 남성의 이미지로 재편됨에 따라 여성은 몸과 함께 선 밖으로 밀려났다. 그곳에서도 생리, 임신, 출산을 하는 여성의 몸은 천대받거나 원시 신화의 여신으로 왜곡되었다. 세상의 척도인 남성은 겪지 않을 대상화의 과정에서 여성은 몸은 주체가 되지 못하며 언어 또한 가질 수 없는 존재가 되었었다. 여성은 모호함과 제어할 수 없는 감정이 지배하는 검은 대륙, 남근중심의 상징계가 자신의 세계를 지키기 위해 억압해야 하는 비체abject로 밀려났다. 여성의 몸이 많은 이야기를 갖게 된 건 바로 이러한 역사 속에서 자신이 마주한 대상과 제도를 몸으로 살아냈기 때문이다. 지각하는 몸, 그 몸속에서 분리되지 않은 의식으로 여성은 실재의 세계를 살아냈다. 그들이 써내려가는 이야기는 이성과 남근중심의 문화가 한 적 없는 이야기며, 그 속에서 새로운 여성이 자신의 몸 갖고 세상으로 돌아온다.


          나는 이영희의 작업에 대한 이야기를 식수가 말한 ‘새로운 여성을 낡은 여성으로 부터 해방’ 시키는 바로 이 지점에서 시작하고자 한다. 이영희는 여성의 그리기를 통해 우리의, 자신의 몸을 되찾아 온다. 작가는 오랫동안 땅과 그 아래에 묻힌 시간의 파편에 대한 작업을 해왔다. 천연 염색을 한 천, 왕겨 같이 여성의 삶에서 익숙한 재료들로 작업 해 온 그는 2011년 일 년 동안 자신이 영감을 얻은 대상을 가까이 들여다보기로 한다. 그래서 매주 자신의 작업실 근교에 있는 논에서 얼어붙은 땅이 뒤집히고, 물이 차고 벼가 자라는 과정을 사진으로 기록했다. 누드 드로잉 아틀리에도 참가해 수백 장의 그림을 그렸으며 자신의 눈으로 본 땅의 변화와 여성의 몸을 왕겨로 빚고, 꼰사를 달아 설치 작업 ‘틈 Crack’시리즈를 만들었다. 눈에 띄지도 않고 거대 이념과 서사를 허락하지도 않지만 삶을 유하는 살림을 하듯이 그는 꾸준히 관찰하고 작업을 했다. 이렇게 12개월간 만들어낸 작품으로 <틈:12> 전시장의 벽과 바닥을 빈틈 없이 채웠을 때, 그는 삼켜진 언어가 목까지 다시차올랐음을 느꼈을 것이다.
여성의 몸을 그리는 일은 새로운 상상계로 그 몸을 날려 보내주는 일이다. 그 과정에서 작가는 틈을 벌려 youngheelee를 꺼내 낸다. 그는 영어로 자신의 이름을 표기할 때 L을 기준으로 표기되는 철자의 반복이 틈으로 보였다. 그는 이제 이 새로운 자아 youngheelee를 틈에서 꺼내 올려 함께 여성의 이야기를 써 내려 간다.


          이번 전시에서 작가는 지하와 일 층, 두 공간을 사용했다. 일층 전시장, 가장 눈에 잘 띄는 벽면에는 영상작업 ‘251_Ellipsis’가 있었다. 세 개의 커다란 액자 위에서 영상 작업은 각각 다른 장면으로 흘러가고 있었다. 작가는 이 세 개의 영상 캔버스를 말없음표 기호를 구성하는 점의 공간으로 할애했다. 여기서 말없음-침묵은 입안을 맴돌다 사라지고 다시 꿀떡 삼켜져 몸 안으로 들어가 버린 말들을 대변한다.
말들이 사라진 공간은 ‘타인의 언어’가 들어선다. 자신이 수행해야 하는 역할들 속에서 작가는 갓 말을 배운 어린아이처럼, 어색한 관계 속에서 힘겹게 그가 배운 형식의 말을 내뱉은 뒤 소멸한다. 영상은 이렇게 내뱉어진, 원어의 부재를 증명하는 말들과 사라진 여성의 염원을 상징하는 전통 문양이 중첩되어 흘러가는 것을 보여준다.
한편 그가 죽음을 맞이하는 세계의 맞은편에는 생의 에너지가 넘치는 세계가 존재한다. 검은색과 녹색으로 그려진 여성의 몸은 물이 흐르는 듯한 리듬을 가지고 둥둥 떠다닌다. 이 몸에서는 힘이 뿜어져 나온다. 푸른 잎사귀가 자라나고, 땅에서 솟구쳐 오르고, 구르고 요동친다. 지하 전시장에는 왕겨와 꼰사로 만든, 땅 아래 여자가 누워 있는 형태의 설치 작업 ‘틈’(2011)의 일부분도 드로잉과 함께 전시되어 있었다. 작가가 되찾은, 낡은 세계의 상상계에서 꺼내 낸 여성의 몸은 여러 이미지와 형태로 변주된다. 이것이 바로 새롭게 쓰인 여성의 몸의 서사며 새롭게 읽혀야 할 세상의 풍경이다.
작가는 라스 폰 트리에 감독의 ‘안티 크라이스트’의 마지막 장면에서 땅속에 있던 여자들이 꿈틀거리며 떠오르는 것을 인상 깊게 봤다고 여려번 이야기했다. 마녀의 주술처럼 어둡고 불길한 무언가로 묘사되는 여성의 몸을 남성 감독이 두려움의 눈으로 바라 봤다면, 작가는 새롭게 태어나는 여성으로 바라봤다. 여성적 텍스트가 쓰여진다면, 그것은 남성적 투사들이 갖고 있는 부동의 오래된 딱딱한 껍데기를 화산처럼 들어 올릴 거란 식수의 예견은 들어맞았다. 낡은 해석과 세상의 반쪽이 상실된 상상계 아래 신음하던 여성의 몸과 이야기는 공포와 악의, 숭배와 배척을 넘어 응축된 에너지를 뿜어내며 우리에게 돌아온다.
이제 작가와 youngheelee 그리고, 만들고, 몸을 움직이며 자신을 억누루고 있던 것들로 부터 자신을 해방시키고 온전한 주체로 존재하게 된다. 유쾌하고 자유로운 여성의 몸으로 그들이 만든 삶과 죽음의 이미지들은 전시장에서 대립하지 않고 유기적으로 공존한다. 창조자로서 자신이 만들어낸 이 온전한 세계를 기억하기 위해 작가는 책을 만들고 기억한다. 그리고 얼마 전부터는 책이란 매체 자체를 자신의 세계로 안아 갔다.

 

          여성의 이야기는 하나만 존재하지 않는다. 여성의 몸이 그러하듯이. 무한하고 유동적인 복합성을 가진 몸의 세계와 교감하는 이영희의 이야기는 책이라는 가장 작은 형태에서부터 벽면을 가득 채운 드로잉, 영상을 가로 지르며 온갖 방향으로 의미를 전복시키며 우리에게 자신의 이야기를 돌려준다.
이영희 작가의 오랜 주제 ‘틈’을 영어로 번역하는 과정에서 나는 왕겨 작품이 갈라진 대지를 닮았기에 ‘crack’ 이 더 맞을 것 같다고 이야기했다. 그러나 돌이켜보니 그녀가 말하는 ‘틈’은 하나의 단어로 번역될 수 없는 세계였다. 또 다른 생명이 솟아나는 갈라진 ‘틈crak’ 혹은 어둠의 땅과 세계가 맞닿아 있는 ‘사이in between’로 번역돼야 했었다. 하지만 이 세계에 어떤 이름을 붙이는 것은 중요한 일이 아니다. 중요한 것은 그녀가, 우리가 이 세계에서 발견한 것이다. 남성이 두려움으로 바라보지 못한 아름다운 메두사의 얼굴처럼 ‘노래하고, 글을 쓰고, 용감하게 말하고 싶은, 즉 새로운 것을 만들어 내고 싶은 욕망’을 부끄러워하지 않는 새로운 여성이 이 세계에서 우리를 기다린다. 온전히, 부족함 없이.

bottom of page